Grievous Ange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rievous Angel》은 1973년 그램 파슨스가 에밀루 해리스, 제임스 버튼, 글렌 하딘 등과 함께 녹음한 두 번째 솔로 앨범이다. 앨범은 파슨스의 헤로인 및 알코올 중독 문제에도 불구하고 열정적으로 제작되었으며, "Return of the Grievous Angel", "In My Hour of Darkness" 등 새로운 곡과 기존 곡들을 포함한다. 앨범 발매 후 파슨스가 사망하자 미망인 그레첸 파슨스는 앨범 커버 및 수록곡을 변경하여 1974년 1월에 발매했다. 《빌보드 200》에서 195위에 올랐으며 평론가들로부터 예술적 성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작 음반 - Life After Death
노토리어스 B.I.G.의 사후 앨범인 Life After Death는 평단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힙합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가 되었고 갱스터 랩의 주류 음악 시장 진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작 음반 - American V: A Hundred Highways
American V: A Hundred Highways는 조니 캐시의 사후 앨범이자 American Recording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으로, 생전 녹음곡들과 마지막 자작곡 "Like the 309" 등이 수록되어 발매 후 평론가들의 호평과 함께 여러 국가에서 차트 1위를 차지했다. - 1974년 음반 - Exotic Birds and Fruit
Exotic Birds and Fruit는 프로콜 하럼이 1974년에 발매한 일곱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크리스 토마스가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지만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86위에 그쳤다. - 1974년 음반 - Natty Dread
Natty Dread는 1974년 밥 말리 & 더 웨일러스가 발표한 앨범으로, 버니 웨일러와 피터 토시 탈퇴 후 아이 쓰리스를 영입하여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보여주며 정치적 메시지를 담았고, 대표곡 "No Woman, No Cry"를 포함하여 음악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에 선정되는 등 밥 말리의 음악적 업적을 대표하는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Grievous Angel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Grievous Angel |
종류 | 스튜디오 앨범 |
예술가 | 그램 파슨스 |
![]() | |
발매일 | 1974년 1월 |
녹음 | 1973년 여름 |
녹음 장소 | Wally Heider Studio 4 (할리우드) Capitol (할리우드) |
장르 | 컨트리 컨트리 록 |
길이 | 36분 14초 |
레이블 | 리프리즈 |
프로듀서 | 그램 파슨스 |
이전 앨범 | GP |
이전 앨범 발매일 | 1973년 |
다음 앨범 | Sleepless Nights |
다음 앨범 발매일 | 1976년 |
싱글 | |
싱글 1 | Love Hurts |
싱글 1 발매일 | 1974년 2월 |
싱글 2 | Return of the Grievous Angel |
싱글 2 발매일 | 1982년 2월 |
평가 | |
Christgau's Record Guide | A |
Rolling Stone | 호평 |
Tom Hull | A– |
기타 정보 | |
차트 순위 | 195위 (미국) |
2. 배경
1973년 봄과 여름, 그램 파슨스는 그의 음악 파트너인 에밀루 해리스, 제임스 버튼과 글렌 하딘을 포함한 엘비스 프레슬리의 "테이킹 케어 오브 비즈니스" 밴드 멤버들, 그리고 여러 게스트(버니 리든, 린다 론스타트 등)와 함께 두 번째 솔로 음반을 녹음했다.[11] 이전 앨범 《GP》와 달리, 《Grievous Angel》은 여러 편곡을 순회공연 중에 구상하며 진행되었다.
그리버스 엔젤의 녹음 세션은 그램 파슨스가 프로듀싱을 맡아 할리우드에 위치한 월리 헤이더 스튜디오 4에서 진행되었다. 헤로인 중독과 알코올 중독으로 어려움을 겪던 파슨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션 동안 열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파슨스의 사망 이후, 그의 미망인 그레첸 파슨스는 앨범 커버에서 에밀루 해리스의 비중을 축소하고, 오리지널 타이틀곡 "Sleepless Nights"를 제거하는 등 앨범 구성을 변경했다.[22][9] 원래 앨범 커버는 "Gram Parsons with Emmylou Harris"로 표기되어 두 사람의 사진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그레첸은 해리스를 뒷면 커버 크레딧으로 옮기고 파슨스의 사진으로 교체했다. 또한, 〈Sleepless Nights〉를 제거하고 파란 바다 속 파슨스의 이미지를 커버로 사용했다.[22][9] 이렇게 수정된 앨범은 1974년 1월에 발매되었다.[22][9] 녹음되었으나 발매되지 않은 세 곡("Sleepless Nights", "The Angels Rejoiced in Heaven Last Night", "Brand New Heartache")은 1976년 파슨스와 플라잉 브리토 브라더스의 컴필레이션 앨범 《Sleepless Nights》에 수록되었다.[22][9]
《그리버스 엔젤》은 1974년 1월에 발매되었으며, 《빌보드 200》에서 195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비평가들로부터는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예술적 승리로 여겨졌다. 《멜로디 메이커》의 앨런 존스는 "《GP》와 《그리버스 엔젤》은 분석할 필요가 없다. 이 마지막 작품들의 절망감과 잊을 수 없는 분위기를 설명할 단어는 없다. 그저 들어야 할 뿐이다."라고 썼다. 《Helix》의 톰 러셀은 이에 동의하며 "그가 컨트리 음악을 록앤롤에 도입한 영향력은 밥 딜런이 포크 가사를 록과 결합한 것만큼 중요하다."라고 썼다. AllMusic의 마크 데밍은 이 LP가 "그의 경력에서 최고의 작품은 아닐지라도, 죽기 불과 몇 주 전에, 또는 인생의 어느 때라도 이렇게 강력한 앨범을 만든 예술가를 찾아내기는 어려울 것이다."라고 썼다. 《Uncut》이 2013년 2월호에서 파슨스의 "가장 위대한 20곡"을 선정했을 때, 상위 3곡인 "Hickory Wind", "Brass Buttons", "$1000 Wedding"은 모두 《그리버스 엔젤》에 수록되어 있다.
3. 녹음 및 구성
새로운 곡이 부족했던 파슨스는 세션 도중 "그리버스 엔젤의 귀환"과 "어둠 속의 나의 시간"을 빠르게 작곡했다. "그리버스 엔젤의 귀환"은 보스턴 출신 시인이자 파슨스 팬인 토마스 브라운의 가사를, "어둠 속의 나의 시간"은 에밀루 해리스가 편곡을 맡았다.
앨범에는 파슨스의 이전 곡인 "Brass Buttons"와 "히코리 윈드", "$1000 Wedding", 그리고 《GP》에서 제외된 "Ooh Las Vegas" 등이 수록되었다. "Brass Buttons"는 파슨스가 1960년대 중반 하버드에서 포크 싱어로 잠시 활동했던 시절의 곡이었고, "히코리 윈드"는 이미 더 버즈와 함께 녹음되었던 곡이다. "$1000 Wedding"은 딸의 어머니와 과시적인 스타일로 결혼하려던 파슨스의 계획이 실패한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1970년경 플라잉 부리토 브라더스와 녹음되었다. "Ooh Las Vegas"는 ''GP''에서 제외되었던 곡이다.
"Medley Live from Northern Quebec"은 루빈 형제의 "Cash on the Barrelhead"와 파슨스의 "Hickory Wind"를 결합한 가짜 라이브 녹음으로, 통조림 박수와 가짜 콘서트 분위기를 특징으로 한다. 에밀루 해리스와의 듀엣곡 "러브 허츠"는 두 사람의 음악적 교감을 보여주는 곡으로 평가받는다. 데이비드 마이어스는 ''2만 개의 길''에서 해리스가 앨범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커진 것을 칭찬하며 듀엣 "러브 허츠"에는 "사랑스러운 하이톤의 울림, 노래 속 고통에 대한 애도와 애절한 외침이 담겨 있다. 둘 다 과장하지 않는다. 그들은 고통을 느끼고, 우리에게 보여주고, 우리로 하여금 모든 부분을 느끼게 하지만, 결코 지나치게 표현하지 않는다. 마지막 '러브 허츠'에서 그들이 내는 톤은 감정과 기술 면에서 얼마나 함께 성장했는지를 보여준다."라고 썼다.
4. 사후 변경 사항
5. 평가 및 영향
빌보드 200에서는 195위에 도달했으며, 2013년 현재, 파슨스의 솔로 앨범 중 유일하게 차트에 진입한 작품이다.[10]
음악 평론가 마크 데밍은 올뮤직에서 5점 만점을 부여하며 "솔로 데뷔작만큼 야심차지도 않고 완성도 있는 작품도 아니지만, 'GP'가 위대한 앨범인 반면, '그리버스 엔젤'은 정말 훌륭한 작품이다"라고 평했다.[13] 『롤링 스톤』지가 선정한 올타임 최고의 앨범 500에서는 425위에 랭크되었다.[14]
5. 1. 한국에서의 평가
《Grievous Angel》은 발매 당시 빌보드 200에서 195위를 기록했으며, 2013년 기준으로 그램 파슨스의 솔로 앨범 중 유일하게 차트에 진입한 작품이다.[10] 1970년대 당시 한국에서는 컨트리 음악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인터넷과 대중매체를 통해 그램 파슨스와 에밀루 해리스의 음악이 재조명되면서, 한국에서도 이들의 음악적 업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진보 성향의 음악 팬들 사이에서 파슨스의 진보적인 음악 세계와 사회 비판적인 가사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그의 음악이 재평가되고 있다. 음악 평론가 마크 데밍은 올뮤직에서 이 음반에 5점 만점을 부여하며 "솔로 데뷔작만큼 야심차지도 않고 완성도 있는 작품도 아니지만, 'GP'가 위대한 앨범인 반면, '그리버스 엔젤'은 정말 훌륭한 작품이다"라고 평가했다.[13] 『롤링 스톤』지가 선정한 올타임 최고의 앨범 500에서는 425위에 올랐다.[14]
6. 곡 목록
Side one |
---|
Side two |
6. 1. Side One
《Grievous Angel》의 Side One은 5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1. 〈그리버스 엔젤의 귀환 (Return of the Grievous Angel)〉 (그램 파슨스, 톰 브라운) – 4:19
2. 〈Hearts on Fire〉 (월터 이건, 톰 귀데라) – 3:50
3. 〈I Can't Dance〉 (톰 T. 홀) – 2:20
4. 〈Brass Buttons〉 (그램 파슨스) – 3:27
5. 〈$1000 Wedding〉 (그램 파슨스) – 5:00
6. 2. Side Two
Side two는 〈Medley Live from Northern Quebec〉, 〈Love Hurts〉, 〈Ooh Las Vegas〉, 〈In My Hour of Darkness〉로 구성되어 있다.〈Medley Live from Northern Quebec〉는 〈Cash on the Barrelhead〉와 〈Hickory Wind〉를 포함한다. 〈Cash on the Barrelhead〉는 찰리 루빈과 아이라 루빈이, 〈Hickory Wind〉는 그램 파슨스와 밥 뷰캐넌이 작곡했다.
〈Love Hurts〉는 펠리스 브라이언트가 작곡한 곡이다.
〈Ooh Las Vegas〉는 그램 파슨스와 릭 그레치가 작곡했다.
〈In My Hour of Darkness〉는 그램 파슨스와 에밀루 해리스가 작곡했다.
7. 참여 음악가
- 그램 파슨스 – 보컬, 어쿠스틱 기타
- 에밀루 해리스 – 보컬 ("Brass Buttons" 제외한 모든 곡)
- 글렌 D. 하딘 – 피아노, "Brass Buttons"의 일렉트릭 피아노
- 제임스 버튼 – 일렉트릭 리드 기타
- 에모리 고디 주니어 – 베이스
- 론 터트 – 드럼
- 허브 페더슨 – 어쿠스틱 리듬 기타, "I Can't Dance"의 일렉트릭 리듬 기타
- 알 퍼킨스 – 페달 스틸
- 버니 레돈 - 어쿠스틱 리듬 기타(on #1), 일렉트릭 리드 기타(on #2), 도브로 기타(on #9)
- 바이런 버라인 - 피들(on #1, #9), 피들 & 만돌린(on #6)
- 스티브 스나이더 - 비브라폰(on #2)
- N.D. 스마트 - 드럼(on #2, #9)
- 린다 론스타트 - 백 보컬( #9)
- 킴 폴리, 론 히클린, 필 카우프만, 에드 틱너, 제인 & 존 도 - Background blah-blah(#6)
7. 1. 게스트
- 버니 리던은 "Return of the Grievous Angel"에서 어쿠스틱 기타, "Hearts on Fire"에서 일렉트릭 리드 기타, "In My Hour of Darkness"에서 도브로 기타를 연주했다.
- 바이런 벌린은 "Return of the Grievous Angel", "Medley Live from Northern Quebec" 및 "In My Hour of Darkness"에서 피들을 연주했고, "Medley"에서는 만돌린을 연주했다.
- N.D. 스마트는 "Hearts on Fire"와 "In My Hour of Darkness"에서 드럼을 연주했다.
- 스티브 스나이더는 "Hearts on Fire"에서 비브라폰을 연주했다.
- 린다 론스타트는 "In My Hour of Darkness"에서 하모니 보컬을 담당했다.
- 킴 포울리, 필 커프만, 에드 틱너, 제인 & 존 도는 "Medley Live from Northern Quebec"에서 "배경 블라블라"를 담당했다.
- 그램 파슨스는 보컬과 어쿠스틱 기타를 담당했다.
- 에밀루 해리스는 보컬을 담당했다.
- 제임스 버튼은 리드 기타를 연주했다.
- 알 퍼킨스는 페달 스틸을 연주했다.
- 허브 페더슨은 어쿠스틱 리듬 기타와 일렉트릭 리듬 기타(3번 트랙)를 연주했다.
- 글렌 D. 하딘은 피아노를 연주했다.
- 에모리 고디는 베이스를 연주했다.
- 로니 탓은 드럼을 연주했다.
참조
[1]
AllMusic
2005-11-29
[2]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10
[3]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4]
뉴스
Gram Parsons: ''GP''/''Grievous Angel'' > Review
https://www.rollings[...]
1973-03-01
[5]
잡지
The Rekord Report: Second Card
http://www.tomhull.c[...]
2020-06-26
[6]
AllMusic
2010-03-21
[7]
서적
All Time Top 1000 Albums
Virgin Books
2006
[8]
잡지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19-09-02
[9]
웹사이트
Rock 'N Roll Case Study: Gram Parsons - The lost album
http://earcandy_mag.[...]
[10]
웹사이트
Gram Parsons | Awards | AllMusic
http://www.allmusic.[...]
[11]
웹사이트
Gram Parsons | AllMusic - Artist Biography by Stephen Thomas Erlewine
https://www.allmusic[...]
[12]
웹사이트
Sleepless Nights | Album Review | Rolling Stone
http://www.rollingst[...]
[13]
웹사이트
Grievous Angel - Gram Parsons | AllMusic - Review by Mark Deming
https://www.allmusic[...]
[14]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Gram Parsons, 'Grievous Angel' | Rolling Stone
http://www.rollingst[...]
[15]
올뮤직
2005-11-29
[16]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10
[17]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18]
뉴스
Gram Parsons: ''GP''/''Grievous Angel'' > Review
https://www.rollings[...]
1973-03-01
[19]
잡지
The Rekord Report: Second Card
http://www.tomhull.c[...]
2020-06-26
[20]
올뮤직
2010-03-21
[21]
웹인용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9-09-02
[22]
URL
http://earcandy_m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